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서론서울시 도시계획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서울플랜+’가 2025년 7월 31일 정식 오픈했습니다.이제 시민들은 복잡하고 흩어져 있던 서울 도시계획사업 데이터를 GIS 기반 지도 위에서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재건축, 모아타운 등 28종 사업 정보를 PC와 모바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서울도시공간포털의 새 기능인 서울플랜+는 도시계획 통합 플랫폼으로서 시민 접근성과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서울시 정책 방향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습니다.🧭 서울플랜+란 무엇인가요?서울도시공간포털에 탑재된 **서울플랜+**는 기존의 파편화된 도시계획 정보를한눈에 볼 수 있도록 통합한 지도 기반 플랫폼이에요.총 2,671개의 서울시..
서론건설투자가 4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역대 최장 침체 기록을 세웠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긴 하락세 속에서, 철강·시멘트·건설고용까지 줄줄이 충격을 받고 있어 한국 경제 전반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과연 이 침체는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구조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전문가 분석까지 포함해, 오늘은 ‘집냥이’가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 🐾 본론✅ 건설투자 4년 연속 감소, 올해까지면 ‘5년째’건설투자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통계 작성 이래 최장 침체 기록인데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10~2012)에도 3년이 최대였습니다. 📉 연도별 건설투자 성장률2021년: –0.2%2022년: –3.5%2023년: –0.5% (기존 +1.5% → 하향 수정됨..
✅ 서론전남 완도에 들어설 ‘국립난대수목원’이 드디어 8월 발주를 앞두고 있어요. 총사업비만 1700억 원! 그중 공사비는 1400억 원대로 예상되고, 관광 명소는 물론 지역경제에도 큰 파급력이 있을 걸로 보이네요.본론🧭 위치와 규모위치: 전남 완도군 완도수목원 부지(373ha, 약 113만 평)구성:레이크가든센터난대식물 전시시설전망대트리탑 테크로드모노레일(총 3,372m)완공 목표: 2030년✅ 이 사업은 2022년 예타 통과, 2023년 기본계획 수립, 2024년 기본설계 착수, 그리고 2025년 8월 기술형입찰 발주까지 순항 중이에요.💰 사업비 증액 이유는? 모노레일 때문!최초 계획 당시 총사업비는 1,070억 원이었지만, 모노레일 구간(3372m) 추가로 240억 원 증액!이 중 단선 260..
"요리하기 싫은 주방엔 이유가 있습니다 – 황금 삼각형 동선 설계로 해결하세요"서론주방은 단순한 인테리어 공간이 아니라,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되는 핵심 공간입니다.그중에서도 냉장고, 싱크대, 가스레인지로 이어지는 동선은 요리의 효율성과 피로도에 직결되는 요소입니다.이 세 요소를 삼각형으로 배치하는 '주방 동선의 황금 삼각형 법칙'은 오랜 시간 실무 설계에서 검증된 기준입니다.본 글에서는 실 사용자 중심의 동선 설계 원칙과, 실제 주방 구조별 적용 방법, 설계 시 유의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본론🔸 1. 주방 동선의 황금 삼각형 법칙이란?냉장고에서 재료를 꺼내고, 싱크대에서 세척 및 손질하고, 가스레인지에서 조리하는 이 세 과정은 요리의 전 과정을 구성합니다.흔히 말하는 동선의 순서는 "준비대-..
지속가능한 주거 패러다임, 지금 당신의 아이디어를 기다립니다서론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초고층, 재건축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아파트 구조를 찾고 있습니다. 가변성과 경제성, 지속 가능성을 갖춘 주거 구조 혁신 아이디어를 찾는 이번 공모전은, 건축 전공자와 전문가 모두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를 열어줍니다. LH 공모전, 아파트 구조, 건축 아이디어, 미래형 주거모델에 관심 있다면 지금이 참여할 때입니다.🏗️ 왜 새로운 구조가 필요할까?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아파트 구조는 대부분 벽식 구조나 라멘 구조처럼 획일적인 형식에 머물러 있었어요. 하지만 요즘은 이야기 다르죠.초고층 아파트는 기본재건축은 빠르게 늘고1~2인 가구 증가에 맞는 가변형 공간 구성도 요구되죠.이런 변화된 시대에 맞는 아파트 구조..
서론✅ 경북 안동과 영양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피해목들이 단순히 버려지지 않고 공공건축 자재로 재활용되고 있어요. 탄 나무로 건축한다는 말에 의아할 수 있지만, 사실 기술적으로도, 법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고 오히려 순환 자원의 모범 사례로 떠오르고 있어요. 오늘은 그 놀라운 이야기, 그리고 ‘왜 괜찮은지’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본론🔥 ‘경북 산불’…600만㎥의 피해, 하지만 희망도 남았어요지난 3월 말, 경북 안동시 임하면 개호송 숲을 비롯한 지역에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어요. 피해목 규모는 600만㎥ 이상, 우리나라 **연간 벌채량인 500만㎥**를 훌쩍 넘는 수준이에요.산림청은 이 중 건축 자재로 활용 가능한 고품질 소나무를 선별해, 서울·경기·충북 ..
서론서울 강남권 재건축의 중심, 반포에서 마지막 대단지인 반포미도 1차 아파트의 재건축 설계사가 결정됐어요.희림건축이 제안한 ‘더반포(THE BANPO)’ 설계안이 주민투표를 통해 최종 당선되며, 향후 반포를 대표하는 새로운 주거 랜드마크로 떠오를 전망이에요.본론🏙️ 반포미도 1차, 어떤 곳인가요?1986년에 준공된 반포미도 1차 아파트는 총 1,584세대 규모로, 반포 내에서도 손꼽히는 대단지예요.강남 중심에서 보기 드문 넓은 대지 면적과 함께, 고속터미널역(검은색), 반포 IC(검은색), 신세계백화점, 서울성모병원 등 뛰어난 생활 인프라를 갖춘 입지로 유명하죠.✅ 반포 마지막 재건축 대단지✅ 고속터미널역, 반포 IC 등 뛰어난 교통✅ 백화점·병원·학교 등 편의시설 밀집 ✨ 설계 공모, 누가 어떻게 ..
서론충주 물류센터 신설 소식이 지역 경제에 반가운 소식으로 전해졌어요.쿠팡 CLS가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에 약 6,000㎡ 규모의 물류센터를 설치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했는데요, 단순한 시설 확장을 넘어 충주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 나아가 충북 물류 인프라 확장의 기폭제로 주목받고 있어요.본론쿠팡 CLS란?쿠팡 CLS(Coupang Logistics Service)는 쿠팡의 배송과 물류를 전담하는 자회사로,쿠팡의 로켓배송을 가능케 하는 핵심 조직이에요.전국 물류 거점에 위치한 이 센터들은 상품의 보관, 분류, 포장, 배송 준비까지 맡고 있으며,고객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상품을 전달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해요.충주에 왜 쿠팡CLS 물류센터가 들어섰을까?이번 충주 물류센터는 가금면 가흥리..
서론 인천 제물포역 북측 도심복합사업이 국내 최초로 ‘지역상생리츠’ 방식을 도입하며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공공주택 공급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이번 모델은 주민이 투자자이자 수익자가 되는 구조로, 앞으로 도심 재개발 사업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기대돼요.요약위치: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 일대공급규모: 총 3,497세대 (공공분양 + 임대주택 포함)주요 방식: 프로젝트 리츠를 활용한 개발주민 참여 구조: 리츠 지분 참여 → 분양권 + 개발 이익 공유사업 일정: 2026년 보상, 2025년 철거 착수, 2031년 준공 목표본론1. 왜 ‘제물포역 북측’인가제물포역 북측은 과거 공장지대와 노후주택이 혼재된 곳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절실한 지역 중 하나예요. 도심 접근성은 우수하지만 그동안 대규모 정비사업이 미뤄졌..
서론LH 공동주택 설계공모 수주 현황이 궁금하다면, 광주산정 S-3BL과 울산선바위 A-2 BL 사례를 주목해 보세요. 설계비, 시공 시기, 설계 포인트까지 자세히 정리했어요. 건축 설계업계 흐름을 파악하고 싶다면 꼭 참고해 보시길 바라요.✅ 한눈에 보는 요약 구분당선건축사위치가구수설계비추정 공사비완공 목표광주산정 S-3BL길건축광주 광산구 장수동833가구36억 원약 2,786억 원2034년 3월울산선바위 A-2BL무영건축 외울산 울주군 범서읍605가구29억 원약 2,129억 원2033년 3월 본론🌳 광주산정 S-3BL 공동주택 – 길건축 단독 수주2025년 7월 10일 발표된 설계공모에서 "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길건축)"가 95점으로 당선됐어요.경쟁사였던 엠에이피건축을 제치고 단독 수급으로 36억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