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 참고링크 본론 구조기둥 - 설치 건축기둥 - 설치 유형 편집 및 패밀리 로드 결론 맺음말 서론 앞서, 기준 작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기둥 슬라브 구조(Don-inno system)로 작성되는 형태의 건물에서는 기둥의 간격을 근거로 그리드를 작성한 뒤, 작업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벽식 구조에서는 벽을 작성하는 것이 우선시 되겠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둥을 배치한 뒤, 벽과의 연관성은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링크 Revit2024 기초 _건축 템플릿 - grid 작성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하여 바로가기) Grid 작성하는 방법 Grid의 구성 및 편집 Grid 유형 편집 결론 맺음말 서론 도면 작성의 가장 기초는 중심선 작도입니다. 중심선을 그리기 ..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 참고링크 본론 레벨 작성 도면 불러오기 3d 확인하기 결론 맺음말 서론 그리드(Grid)는 평면상에서의 기준선을 작업하는 것이기 때문에 ( X, Y ) 축에서의 작업값을 의미합니다. 기준을 그린다는 것은 그리드와 동일하지만 Z축값을 맞춘다는 개념, 또는 높이값을 셋팅한다는 개념으로 레벨(Level)을 셋팅한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Grid는 X,Y축 작업이기 때문에 평면상의 작업으로서 [평면도]에서 작업하는 것이 맞습니다. Level은 Z축 작업이기 때문에 입면상의 작업으로서 [입면도]에서 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 개념만 간단히 잡고 간다면 크게 어려울 것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참고 사이트 입니다. 확인해 보시고 작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X,Y 기준 셋팅 ..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하여 바로가기) 인터페이스의 구성 특성창, 프로젝트 탐색기 사라졌을 때 해결방법 리본메뉴 사라졌을 때 해결방법 특성 편집 시, 꼭! 기억해야 하는 사항 결론 맺음말 서론 Revit은 건축, 건설, MEP(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 토목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흔히 인테리어에서는 거의 쓸모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그렇지 않습니다. 최근 renderer와의 Link형성에 있어 굉장히 많은 힘이 쏠리고 있는 지금, 솔직히 커튼월 작업에서 Thin Frame 설정이 약간 어려운 것을 제외하면 아주 쓸만한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작업속도 향상과 파일 관리에 있어 큰 이점이 있는 프로그램이므로 차근차근 알아두시는 것을..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하여 바로가기) Grid 작성하는 방법 Grid의 구성 및 편집 Grid 유형 편집 결론 맺음말 서론 도면 작성의 가장 기초는 중심선 작도입니다. 중심선을 그리기 위한 작업은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작도가 가능하지만 Revit에서 제안하는 중심선 방식은 GRID 방식입니다. Grid를 활용한 작업에서는 Center선을 끊지 않고, 끝까지 가는 것을 지향하며, 작업 시에는 벽체 중심선으로 작업할 것인지, 구조체를 기준으로 작업할 것인지를 먼저 생각하고 작업하는 것이 우선시됩니다. 이 것은 직종별로 다르고, 회사마다 다른 방향을 채택하고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틀을 잡아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그리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rid란?(아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