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목차 서론 시작하는말 - 참고링크 본론 Fixit101 설치파일 Fixit101 설치 및 활용 결론 맺음말 서론 스케치업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Tool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플러그인(plug-in)인 루비(Ruby)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퀄리티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 중, Solid Tool을 활용하려면 Solid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때, Solid가 아닌 객체를 Soild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야하는데 쉽지 않죠. 그래서 루비를 사용합니다. 물론, Solid inspector2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필자는 개인적으로 Fixit을 즐겨씁니다. 확인하지 않고, 한번에 적용되는 것이 편리하기 떄문입니다. 그러면 루비를 설치하는 방법은 이전글에서 다뤘었으니, 설치방법..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 참고링크 본론 레벨 작성 도면 불러오기 3d 확인하기 결론 맺음말 서론 그리드(Grid)는 평면상에서의 기준선을 작업하는 것이기 때문에 ( X, Y ) 축에서의 작업값을 의미합니다. 기준을 그린다는 것은 그리드와 동일하지만 Z축값을 맞춘다는 개념, 또는 높이값을 셋팅한다는 개념으로 레벨(Level)을 셋팅한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Grid는 X,Y축 작업이기 때문에 평면상의 작업으로서 [평면도]에서 작업하는 것이 맞습니다. Level은 Z축 작업이기 때문에 입면상의 작업으로서 [입면도]에서 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 개념만 간단히 잡고 간다면 크게 어려울 것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참고 사이트 입니다. 확인해 보시고 작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X,Y 기준 셋팅 ..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 ★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 - 어떤 사람인가? ★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 - 대표 건축물 ★ 빌라사보아 ★ 롱샹 성당 결론 맺음말 서론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1887~1965)는 현대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하며, 그의 건축과 건축 이론은 당시 센세이션한 것들이었습니다. 르 코르뷔지에가 제시한 도미노 시스템과 건축의 5대 요소는 현대 건축에서 모듈이 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그래서 오늘의 포스팅은 르꼬르뷔지에가 어떤 사람이고, 그의 대표 이론들은 어떤 내용인지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론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 - 어떤 사람인가? 르꼬르 뷔지에 (Le Corbusier)는 스위스 태생..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하여 바로가기) 레이어 명령 및 셋팅 정리 레이어 편집 메뉴 및 연관 명령 Layer Porperties - Line type Layer Porperties - Color 결론 맺음말 서론 AutoCAD는 도면을 작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렇기에 대부분 선,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들은 각각의 역할에 맞춘 모양, 색상, 두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편집을 이루는 것이 layer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layer는 사전적 정의로는 이해가 어려울 것입니다. 편하게 기억하기 위해서는 [선을 필요한 종류별로 구분한다] 정도로 기억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또한 출력했을 때도 구분이 명확해야 하기 때문에 출력 셋팅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캐드 출력 ..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 plot, print 설정 / layer 설정 참고 링크 본론 Hatch 명령 사용법 Hatch setting - set origin Hatch setting - Associative Hatch 설치 오류 및 해결방법 결론 hatch 정리 - 맺음말 서론 도면을 작도할 때 사용하는 hatch는 도면에서의 재료를 표시하기 위한 약속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타일은 타일 사이즈에 맞춘 격자무늬, 우드 타일은 DOLMIT 패턴과 같이 약속한 패턴을 사용하여 모양을 줍니다. 하지만 이 경우, 선으로 일일이 그린다고 가정한다면 관리도 힘들고, 작도에 시간을 많이 뺏길 것입니다. 이 경우 Hatch로 패턴 잡아주는 것이 편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Hatch는 패턴에 따라 도면이 복..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으로 바로가기) 로고 이미지를 활용한 벡터화(Vector) 편집 AUTOCAD에서 불러왔을 때 Sketchup에서 불러왔을 때 3ds Max에서 불러왔을 때 결론 맺음말 서론 브랜드와 협업을 하는 단계에서는 도면을 제공받을 수 있겠지만, 협업단계가 아니거나, 스타트업인 브랜드와 작업, 혹은 디자인 연습을 위해 필요한 로고를 도면으로 작성하고자 할 경우, 이미지를 가져와서 라인을 따는 까다로움이 있었을 겁니다. 인테리어와 건축 계열에서의 라인 및 도면화 작업은 언제나 어려운 작업이라고 여겨집니다. 크게 퀄리티를 요하는 것이라면 꼭 라인 작업을 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고, 빠르게 작업해야 하는 경우 아래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부터 사용할 프로그램은 illust..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 기본 박스 작도 박스 작업 후, 편집 편집 사용 시, 유의사항 결론 맺음말 서론 스케치업은 3d 프로그램 중에 직관적인 것으로는 단연 1등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주 프로그램이기때문에 팔이 안으로 굽는 것도 있지만 이름부터 스케치Up 이기 때문이라고도 생각이 됩니다. 스케치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아주 단순히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면을 생각한다 평면을 그린다 면값이 그려지면 앞면 뒷면을 확인한다 높이값을 준다 이렇게 면을 그리고, 입체를 만드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숙달 될 때까지 천천히 평면을 그리고, 입체로 변환하는 형태를 만들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는 스케치업 단축키를 다운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새창으로 열리니, 확인해보는 것을 ..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오류메시지 해결 방법 (이전 포스팅 링크) 본론 글씨 작성 명령 - DT / MT(T) 글씨 편집 명령 - ST Style 설정 시 유의사항(누운 글씨) 결론 맺음말 서론 캐드에서 글씨를 다루는 것은 가이드를 주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나만 알기 위해 사용한다기보다, 도면을 읽는 모든 사람이 읽기 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도면마다 스케일이 다르기 때문에 글씨 크기는 이렇습니다!라고 규정할 수는 없으니, 도면을 많이 그려보면서 숙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작성 중, 많이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작성한 바가 있기 때문에 링크를 첨부토록하겠습니다. 새창에서 열리니, 같이 보시면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yu-topi..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하여 바로가기) 인터페이스의 구성 특성창, 프로젝트 탐색기 사라졌을 때 해결방법 리본메뉴 사라졌을 때 해결방법 특성 편집 시, 꼭! 기억해야 하는 사항 결론 맺음말 서론 Revit은 건축, 건설, MEP(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 토목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흔히 인테리어에서는 거의 쓸모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그렇지 않습니다. 최근 renderer와의 Link형성에 있어 굉장히 많은 힘이 쏠리고 있는 지금, 솔직히 커튼월 작업에서 Thin Frame 설정이 약간 어려운 것을 제외하면 아주 쓸만한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작업속도 향상과 파일 관리에 있어 큰 이점이 있는 프로그램이므로 차근차근 알아두시는 것을..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클릭하여 바로가기) Grid 작성하는 방법 Grid의 구성 및 편집 Grid 유형 편집 결론 맺음말 서론 도면 작성의 가장 기초는 중심선 작도입니다. 중심선을 그리기 위한 작업은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작도가 가능하지만 Revit에서 제안하는 중심선 방식은 GRID 방식입니다. Grid를 활용한 작업에서는 Center선을 끊지 않고, 끝까지 가는 것을 지향하며, 작업 시에는 벽체 중심선으로 작업할 것인지, 구조체를 기준으로 작업할 것인지를 먼저 생각하고 작업하는 것이 우선시됩니다. 이 것은 직종별로 다르고, 회사마다 다른 방향을 채택하고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틀을 잡아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그리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rid란?(아래..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 Section Tool 활성화 Section Button 기능 Section 설치 Section 응용 결론 맺음말 서론 더보기 주말에는 포스팅을 잘 안 하긴 하지만 평일에 이렇게 못한 적은 처음이네요.. 코로나에 걸려서 많이 아팠던지라..ㅎㅎㅎ 컴퓨터에 앉을 기력도 안 났었네요 하하.... 다시 아프지 않고, 꾸준히 올려보도록 할게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인테리어 및 건축에서 스케치업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때 가장 걸리는 것이 아이소매트릭일 것입니다. 아이소매트릭은 사전적인 의미로는X, Y, Z 축이 각각 120도로 이루어진 물체를 표현하는 투시도 기법 중 하나로, 위에서 아래로 보는 듯한 구도를 활용하여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인테리어에서는 이를 천장을 안 보이게..
목차 서론 본론(클릭하여 이동하기) EPS Ploter 추가 JPG로 내보내기 쉽게 하기 결론 서론 Print를 할 경우, print가 컴퓨터와 연결되어있다면 사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ploter 같은 경우, 편집을 위해 내보내기 혹은 미팅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내보내기. 두가지의 경우로 남게 됩니다. 이 때는 재편집(리터칭)을 위해 내보내기를 할 경우가 조금 문제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ixel 형식의 편집을 사용한다면, 작업이 까다롭지만, Vector 형식을 사용한다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 때 사용하는 내보내기 형식이 eps 형식입니다. 그러면 eps ploter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plot에서 pdf로 내보내기를 알고 싶으시다면..
목차 서론 내집을 짓기 위한 첫번째 조건 : 법률해석 ? 법규 분석? 본론 내가 산 땅 어떤 곳인지 ? 1. 국가법률정보센터 2.토지이음 건폐율이란 ? 용적률이란 ? 결론 맺음말 서론 이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는 모두 둥지를 갖길 원합니다. 저 또한 인테리어 건축을 시작한 이유가 내 집을 내가 디자인하고, 내 가족이 내가 디자인한 집에서 살게 하고 싶은 꿈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실은....너무 먼 이야기인게 아쉽지만요.. 본론으로 돌아가서... 이렇게 땅을 사고, 집을 짓는데 있어서는 어떤게 가장 선행되어야 할까요 ? 기본적으로 내가 산 땅이 어떤 땅인지를 먼저 알아야겠죠 ? 땅을 그냥 사는 사람이 없듯이, 집을 그냥 짓는 사람 또한 없을 것입니다. 이 때 고려할 사항 중 체크해야할 것들을 순차적으로 ..
목차 서론 - 작업 시작하기 본론 (클릭으로 이동하기) 모델링을 통한 구 작도 루비(ruby)를 활용한 구 작도 결론 - 작업 끝내기 - 참고링크 서론 스케치업은 캐드와 같이 명령어를 숙달하고, 단축키를 세팅하여 작업하는 것이 작업속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루비는 폭이 굉장히 넓기 때문에 개인이 연구를 많이 한다면 작업속도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축키 숙달을 위한 자료는 아래의 링크를 들어가시면 참고가 가능하게 정리해 두었습니다. 확인해 보시고,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https://yu-topia.tistory.com/2 스케치업 기초 - 화면 구성과 단축키(Sketchup Pro Interface & shortcut key) 가장 기본적인 화면 구성부터 살펴..
목차 서론 시작하는 말 본론 Print & Plot의 개념과 명령어 명령어 화면 구성 PDF 변환 설정 결론 맺음말 서론 도면을 작성함에 있어, 우리는 선으로 작업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기본적으로 layer를 나눠서 작업하게 되는데 layer는 Color, Line Type, Line Weight 값을 편집함으로써 구분 지어줍니다. color 값을 먼저 나눠서 한눈에 들어오게 수정을 잡아준 뒤, Line Type으로 용도를 구분해 주고, Line Weight을 통해 line별로 중요도를 체크해 줍니다. 해당 내용은 추후 layer part에서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처럼 도면을 작성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색상을 사용하지만, print / plot을 하는 데 있어서는 흑백으로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